영화 “어느 가족 (万引き家族)”
등장인물 : 오사무 시바타(릴리 프랭키), 노부요 시바타(안도 사쿠라), 아키 사바타(마츠오카 마유),히츠에 시바타(기키 키린), 쇼타 시바타(죠 카이리), 린(사사키 미유) 등
1. '어느가족' 서론 및 배경정보
“어느 가족은(2018)”은 일본의 “만비키 가족(万引き家族)”의 제목으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작품이다. 영화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제71회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받았으며 일본은 물론 한국에서도 많은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제목이 주는 ‘좀도둑 즉, ‘만비키’란 이름이 당시 자국으로부터 일본을 폄하하는 내용이라는 시선도 따가웠다고 한다. 하지만 자국의 시선에 굴하지 않고 고레에다는 일본사회 밑바닥의 생활상을 파헤치며 이 작품을 완성했다.
작품에는, 연금으로 근근히 살아가는 ‘시츠에(기키 키린)’ 할머니, 건설현장의 일용직 ‘오사무(릴리 프랭키)’와 세탁공장에서 일하는 ‘노부요(안도 사쿠라)’는 부부이다. 버려졌던 아이 ’쇼타(죠 카이리)’, 성인업소에서 일하는 ‘아키(마츠오카 유미), 이렇게 5명이 한 가족의 구성원이 되어 살고 있다. 그리고 학대 가정에서 합류하게 된 막내 ‘유리(사사키 미유)’ 가 있다. 이들은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았지만, 절도, 유괴, 학대, 시신유기 등의 범죄를 저지르면서도 가족의 사랑만큼은 어느 정상적인 가족 못지않은 화목한 생활을 보여주고 있다.
작품의 구상은 ‘노부부가 사망하자, 그 자손들이 사망처리를 미루고 그 연금으로 생활하다 체포된 어느 가족의 뉴스를 보게 되면서부터 출발한다. 좀도둑질을 하던 가족이 체포되어 재판이 열렸다는 뉴스를 보게 된 고레에다 감독은 그들이 발견된 이유가 궁금했다고 한다. 그들은 훔친 물건을 모두 되팔아 돈으로 바꾸었지만 낚싯대만은 팔지 않고 집에 두고 있다가 꼬리가 잡히게 되는데 이에 감독은 훔친 낚싯대로 낚시를 하는 아버지와 아들의 풍경이 머리에 떠올랐고, 부모와 자식이 혈연관계가 아니라면 ‘훔친 낚싯대’처럼 ‘훔친 아이’라는 소재가 떠올랐고 이에 작품을 구성했다는 인터뷰를 통해 밝힌 적이 있다.
2. 영화 '어느가족' 줄거리 및 결말 정보
어느 마트 안, 오사무는 아들 쇼타를 데리고 마트 안을 어슬렁거린다. 손가락 암호를 주고 받은 그들은 여느 때처럼 생계를 위한 물건을 훔쳐 밖으로 나간다. 때는 추운 겨울, 물건을 훔쳐 서둘러 귀가하는 길에 옆 건물 베란다 밖으로 내몰린 꼬마 여자아이를 발견하고 그들은 측은한 마음으로 유리’라는 아이를 데려 온다. 이들은 가족은 다양한 과정으로 한 가족을 형성해 묘한 동질감과 친근감이 생기면서 가짜지만 진짜 가족 못지않은 관계를 갖는다. 그리고, 바다구경을 못해본 막내 유리를 위해 바다로 간 가족들은 모두 즐거워하고 할머니 하츠에는 검버섯이 낀 다리에 모래를 끼얹으며 “다들 고마웠어”란 말을 남기며 생을 예견한다. 바다에 다녀온 후 하츠에는 죽음을 맞았고 가족들은 연금 수령을 위해 아무도 모르게 할머니를 집안에 암매장한다.
아들 쇼타는 가족들과 자신을 따라 좀도둑질을 배우는 유리를 보고 회의감을 느낀다. 값이 비싼 낚시대를 훔치는 과정에서 어린 유리는 경고음을 내는 전원코드를 빼주고 훔친 낚시대를 보며 아버지 오사무는 흐믓해 한다. 아버지 오사무의 도둑질과 유리까지 도둑으로 성장할 것을 걱정한 쇼타는 어느 날 다시 유리의 절도행각을 보고 주인의 시선을 끌기위해 양파자루를 들고 달아난다. 그리고 위기에 몰린 쇼타는 다리위에서 뛰어내려 부상을 입고 경찰에 끌려간다. 유리를 보호하고 이 생활에 종지부를 찍기 위한 쇼타의 행동이었다. 이렇게 경찰조사를 받으며 이들 가족의 생활도 하나씩 폭로된다. 노부요는 유리에 대한 취조에서는 “무조건 낳기만 하면 엄마가 되느냐?”라며 흐느낀다. 진정한 가족의 의문을 제시하는 이 대사와 소리하나 없이 울음을 삼켰던 노부요역의 명장면은 지금도 유명하다.
3. 영화 '어느가족' 감상평
범죄로 생활하는 새로운 형태의 가족을 그려내고 있는 이 작품은, 혈연중심 가족형태의 재산과 권력싸움과는 다른 신선함을 보여준다. 기댈 곳 없는 사람들의 우연한 만남이 가족의 구성원이 되어 깊은 유대관계 속에 따스한 가족을 만들어간다는 이야기는 가히 감동스럽다. 하지만 빈곤을 핑계로 갖가지 범죄행위를 알고 눈감아주면서까지 그들의 편에 서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쉽게도 개봉한 해에 서거한 할머니 역의 ‘기키 기린’의 “다들 고마웠어”란 짧은 애드립의 한 마디는 유방암으로 얼마남지 않은 자신의 생에 대한 마지막 대사는 아니었을까. 그리고 마지막 경찰의 취조도중 ‘노부요’역의 ‘안도 사쿠라’의 내면의 눈물 연기는 이 작품의 클라이맥스를 장식하며 모두를 울게 했다. 서로를 감싸 안아주었던 그들 가족의 모습에서 ‘고레에다’ 감독은 과연 이 시대 가족의 형태는 무엇인지, 모든 범죄로 얼룩진 이들에게 왜 관객들은 그토록 안타까운 마음으로 그들 편에 서게 되는지, 우리 모두에게 가족과 사회라는 크나큰 문제의 질문을 던져준다.
댓글